NewsJelly

이제는 고령 사회, 일하는 노인에 대하여 - 데이터로 보는 고령 인구

PART1. 고령화 사회? 이제는 고령사회

 

2019년 우리나라 추정 인구는 51,709,098명이다. 인구 감소 문제는 하루 이틀의 이야기가 아니지만, 정확한 통계 데이터로 보면 2015년 51,069,375명을 기록한 이래로 전년 대비 인구 증감률은 급격히 하락했으며, 다가올 2031년부터는 실제로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한다.

앞으로 총인구는 감소하게 되지만,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65세 인구는 1995년 이래로 2018까지 꾸준히 증가했으며, 2047년에는 18,787,212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 15~64세 인구는 2047년 25,620,373까지 감소하는데, 그 추세를 볼 때 머지않은 훗날 65세 이상 인구가 15~64세 인구를 초월할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 지역별로 보면 전남의 경우 2046년 처음으로 65세 이상 인구가 15~64세 인구수를 초월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를 판단하는 지표인 노인인구비율(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2000년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고, 2018년에는 고령사회가 되었다. 노인인구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1%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다. 우리나라는 2026년 노인인구비율 21.4%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될 전망이다. 이와 같은 속도는 일본보다 10년 빨리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는 것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기 어려운 추세라고 한다. 

65세 이상 인구의 변화를 좀 더 세분화해서 보면 85세 이상 인구의 급격한 증가 현상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통계청 장래추계인구 데이터 중 65세 이상 인구를 5세 기준으로 분류해서 보면 2050년 이후 85세 이상 인구가 다른 연령 분류보다 가장 많은 인구수를 기록하게 될 것을 알 수 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기준 전남을 제외한 전국 시도는 이미 고령화사회이거나 고령사회에 진입한 상태다. 고령사회에 진입한 시도는 서울, 강원, 충남, 충북, 전북, 대구, 부산, 경북, 경남, 제주이다. 특히 서울과 대구는 지난 2018년에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한편, 전남의 경우 2018년 17개 전국 시도 중 처음으로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대략 고령사회에서 초고령 사회까지 이르는 기간을 살펴보면, 일찌감치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지방의 경우 약 15년 이상 걸리는 것에 반해 서울, 경기, 인천의 경우 7~9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되어 상대적으로 고령화 진행 속도가 빠르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PART2. 일하는 노인들

 

고령화로 인한 변화는 노동 시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조사 결과 2018년 기준 전체 취업자 중 60세 이상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7.6%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최근 연도별 연령별 취업자 비중 변화를 살펴보면 고령화로 인해 40대 이하 취업자 비중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50세 이상 취업자 비중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한편, 통계청의 고령층 부가 조사 결과 따르면 55세 79세 고령 인구 중 취업자와 비취업자 간의 구성 비중 차이는 점차 증가했다. 2010년 이후로 취업자의 비중이 비취업자 비중을 넘어섰으며, 그 경향 그대로 2019년까지 취업자의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렇다면, 노인들은 어디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 산업과 직업별로 연령별 취업자 구성 비중을 살펴보자. 

먼저, 대부분의 산업에서 60세 이상의 취업자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 가운데 눈에 띄는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이다. 2013년 상반기 9.57%에서 2019년 상반기 22.5%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또 ‘가구 내 고용 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소비 생산활동’ 역시 같은 기간 사이 40.5%에서 57.5%로 증가했다. 연령 구분을 임의로 청년(15-39세), 중장년(40~59세), 노년(60세 이상)으로 나누어서 데이터를 보면, ‘숙박 및 음식업점’의 경우 청년과 노년의 취업자 비중 둘 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의 경우 청년 취업자의 비중은 줄고, 노년 취업자의 비중은 증가하는 것 역시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직업별 연령별 취업자의 비중을 살펴보자. 산업별로 살펴봤을 때와 유사하게 대다수의 직업에서 60세 이상의 취업자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와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의 경우 2013년 15~29세 취업자의 비중과 60세 이상 취업자의 비중이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그 격차가 증가하여 2019년 60세 이상 취업자의 비중이 15~29세 취업자의 비중보다 확연히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서비스 종사자’는 2019년 60세 이상 취업자 비중이 30~39세 취업자 비중을 넘어섰다.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와 단순 노무 종사자의 경우 2013년부터 최근까지 다른 연령대에 비해서 60세 이상 취업자 비중이 가장 높은 직업이다. 특히 단순 노무 종사자의 경우 연령 구분을 청년, 중장년, 노년으로 살펴봤을 때 2019년 노년 취업자의 비중이 중장년 취업자의 비중과 거의 비슷한 수준까지 증가한 점이 눈에 띈다.

 

PART3. 일터로 나서는 노인들의 생각과 삶

 

고령 사회로의 진입, 나아가 앞으로 다가올 초고령 사회에서 노인의 경제 활동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통계청의 사회조사에 따르면 55~79세 인구 100명 중 65명이 취업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동일 조사의 2005년 응답 결과는 59.1%였는데, 2019년 5.8%가 증가했다. 취업을 희망하는 노인들은 그 이유로 ‘생활비에 보태기 위함'(60.2%)이라고 답했다.

한편, 고령층 장래 희망 근로자가 직업을 선택하는 기준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2005년부터 진행된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조사-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임금 수준' 응답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다가 2013년 이후 ‘일의 양과 시간대' 응답이 1순위 응답이 되었다. 노인들이 ‘일'을 바라보는 관점에 약간의 변화가 이뤄지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노인의 ‘일’은 그들의 ‘삶'의 만족도와 연결된다. 일하는 노인과 그렇지 않은 노인은 자신의 삶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 중 취업 인구가 비취업 인구보다 노후 준비에 대해 ‘준비되어 있다’라고 더 많이 응답했다. 또 ‘생활비를 본인과 배우자가 부담한다’라는 응답에 대해 취업 인구의 비중이 비취업 인구에 비해 높았다. 한편, 비취업 인구의 경우 ‘자녀 또는 친척 지원, 정부 및 사회단체 지원'이라는 응답을 많이 했다.

고령층의 취업 여부는 경제적 여건에 대한 다른 인식뿐만 아니라 건강, 삶의 질 차원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동일 조사 결과 65세 이상 인구 중 취업 인구가 비취업 인구보다 자신의 건강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건강 상태가 좋다고 생각한다', ‘정기적으로 건강 검진을 한다'는 질문 모두 취업 인구가 비취업 인구에 비해 높은 응답률을 기록해 취업 활동의 여부가 건강에 대한 자신감, 긍정적 인식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사회적으로 자신이 안정적인 관계 속에 있다고 느끼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사회적 관계망'을 묻는 질문 - ‘특정한 상황에 처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냐’-에서 취업 인구가 비취업보다 높은 응답을 하였다. 그 외 생활, 소득, 소비, 여가에 대한 만족도 역시 취업 인구가 비취업 인구에 비해 높은 응답을 기록해 삶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감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령화로 인한 전체 인구 중 다수가 되어가는 노인, 이들을 데이터로 살펴보면서 우리는 단순히 인구수 차원에서 노인의 증가뿐만 아니라 사회 속에서 어떤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는지 그 역동성을 살펴볼 수 있다. 언젠가부터 익숙한 단어가 된 ‘고령화 사회'에서 현재의 ‘고령 사회'가 된 한국, 그리고 얼마 후 ‘초고령 사회'를 맞이할 미래를 앞둔 지금, 우리는 노인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고, 또 이들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데이터 출처

  • 통계청

태그

고령사회,노인 취업,데이터 시각화,취업,고령화사회,고령화,태블로,tableau,고령인구
구독하기맨 위로
기타 공유할 수 있는 곳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