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멤버 0416 - 빅데이터로 돌아보는 세월호 1년
뉴스젤리 / 서울신문 세월호 1년 공동 기획기사
1. 98.1%, 잊혀진 그날
세월호 참사 당일부터 지난 7일까지 네이버 뉴스 댓글과 페이스북(전체 공개),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와 다음 카페, 일간베스트 등 주요 커뮤니티 게시글 가운데 ‘세월호’가 언급된 글의 단어 1억 159만여개를 수집·분석한 결과 지난해 4월에 131만 6167건에 달했던 버즈양은 1년 만에 2만 5060건으로 98.1% 감소했다.
수색이 한창이던 지난해 5월 115만여건에 이르던 버즈양은 6~7월에 20만~30만건으로 급감했다. 8월에는 69만여건으로 치솟기도 했지만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으로 관심이 쏠린 덕이다. 물론 슬픔과 관심이 사그라들기에 1년은 짧은 시간이 아니다. 문제는 건강한 애도의 과정을 거쳤느냐는 점이다. ‘다이빙벨’ 논란부터 ‘세월호특별법’을 둘러싼 정치권의 갈등, 세월호 인양의 경제성 논란까지 온전히 슬퍼할 여건은 갖춰지지 않았다.
2. 희망이 절망으로 바뀐 5월
사고 직후부터 같은 달 30일까지 사고(2만 4174건)가 참사(1만 1125건)보다 1만건 이상 많이 언급됐다. 전우영 충남대 심리학과 교수는 “세월호 침몰 초기만 하더라도 구조의 희망이 남아 있다는 생각에 사고라는 단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그러나 시일이 지나 희망이 사라지며 말 그대로 ‘참혹한 사건’으로 돌변하면서 참사가 많이 쓰이기 시작한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5~9월에는 참사(7만 482회)가 사고(5만 956회)를 2만건 정도 웃돌았다가 10월 이후에는 사고(1만 6980회)가 언급된 횟수가 참사(1만 2603회)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선사의 탐욕과 선원들의 무책임, 정부의 규제완화, ‘관피아’로 구성된 해운 당국과 해경 등의 관리감독 부실 등 한국 사회의 총체적 부실 드러나면서 참사란 표현이 더욱 빈번하게 노출됐지만, 10월 이후 보수진영을 중심으로 이른바 ‘세월호 피로감’이 제기되면서 국민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3. 일간베스트는 어떻게 달랐을까?
특히 세월호 유가족을 바라보는 긍정·부정 여론이 엇갈릴 때 참사와 사고의 빈도는 극명하게 엇갈렸다. 극우 성향 인터넷 커뮤니티 ‘일간베스트저장소’(일베) 회원들이 유가족 단식 투쟁에 맞서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야만적인 폭식투쟁을 벌인 지난해 9월 6일 참사가 사고보다 4배 많이 언급된 반면, 실종자 가족이 선체 인양 여부를 투표에 부쳐 부결된 10월 27일에는 사고가 참사보다 3배 많이 조사됐다.
이택광 경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세월호 침몰 직후 국민은 갑작스럽게 닥친 희생이 우리가 모두 겪을 수 있는 일이라며 슬픔, 아픔을 공감했다”며 “하지만 보상 등 이슈가 불거지자 그들(희생, 실종자 유가족)만의 문제라는 인식이 많아졌고, 사고 언급 횟수가 참사를 뛰어넘은 것”이라고 말했다. 임운택 계명대 사회학과 교수는 “초기에는 희생자 가족과 심정적으로 일체화했지만, 김영오씨의 단식투쟁 등이 길어지면서 갈등이 표출되자 당사자들과 거리를 두는 경계화 과정을 거쳐 타인의 문제로 인식하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4. 그날 이후, 가장 00 했던 날
감정을 나타내는 어휘를 분석해 세월호 참사 이후 국민의 슬픔과 분노, 안타까움이 가장 컸던 날도 알 수 있었다. 지난 1년 중 가장 ‘안타깝다’고 느낀 날은 참사 당일이었다. ‘안타깝다’라는 형용사가 총 128회 등장했다. 국민들이 가장 ‘아프고 고통스럽다’고 느낀 날은 희생자가 100명을 넘어섰던 4월 22일(아프다 223회, 고통 159회),가장 분노했던 날은 세월호와 진도 교통관제센터(VTS) 간 교신 내용이 공개됐던 4월 20일이었다. 당시 세월호 이준석(69) 선장이 “퇴선 명령을 내릴 경우 구조가 이뤄질 수 있는가”만 VTS 측에 거듭 물으면서 시간을 허비하는 교신 내용이 공개돼 공분을 샀다.
▲정부 ▲박근혜 대통령 ▲해경 ▲청해진해운(혹은 유병언) ▲언론 ▲국회 ▲기타(한국, 국가, 대한민국, 사회) 등 7개 키워드를 중심으로 월별 추이를 살펴본 결과 버즈양 등락이 비슷하게 집계되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기타’를 언급하는 횟수만 꾸준히 유지된 점도 흥미롭다.
임 교수는 “책임 소재가 불명확한 시기에는 대통령, 정부를 언급하며 비난하다가 진상 규명이 되지 않은 채 시간만 흐르자 다른 사회적 갈등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과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한민국은 제대로 슬퍼하지 못했다. ‘건강한 애도’를 전제로 한 반성과 대안은 없었고, 세월호의 비극은 ‘경제 논리’와 ‘정치 싸움’에 잠식당했다. 참사 직후 자신의 피붙이를 잃은 듯 나라 전체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앓기도 했지만, 시나브로 세월호는 잊혀지고 있었다.
Data source
- 네이버
뉴스
RECENTLY NEWS